728x90
반응형
안중근의 가족들 역시 대부분 독립운동에 투신했습니다.
동생 안명근은 데라우치 총독 암살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적이 있고, 어머니 조마리아는 독립운동가들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며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지요.
그의 후손들과 일가친척들은 독립운동을 위해 해외로 뿔뿔이 흩어져야만 했습니다.
이중 안중근의 차남 안중생은...... 변절했습니다.
물론 안중근의 의거 당시 안중생은 두 살 밖에 먹지 않았었고, 친형 안분도가 일제에 의해 독살당하는 등 어릴 때부터 위협을 받아온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이에 대한 판단은 자유롭게 가능하겠지만, 여하튼 결론은 변절입니다.
1939년에는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인 이토 분키치를 만나 “제 부친께서 어리석은 생각으로 당신의 아버님을 죽게 만들었는데 이에 아들로서 아버지의 오만방자한 만행을 진심으로 사죄합니다.”라는 말을 했지요.
당연히 이 발언은 당시 총독부의 어용지로 전락한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 등에 대서특필되었습니다. 일제는 조선과 일본이 하나 되는 내선일체가 실현되었다고 떠들어댔지요.
이 사실을 접한 김구가 안준생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도 <백범일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독립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안중근의 아들이 한 발언인 만큼 그 여파도 상당했지요.
소개해드릴 또 다른 인물 박승유는 박제순의 손자입니다. 박제순이 어떤 놈인가 하면 1905년 당시 대한제국의 외부대신(지금의 외교부장관)을 맡고 있던 사람이지요. 다시 말하면 을사조약에 찬성 서명을 한 을사오적 중 하나입니다.
이완용의 미친 존재감 때문에 을사오적 하면 이완용만 기억하는 경우가 많지만, 을사조약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박탈한 불법조약인 만큼 적어도 이 사안에 있어서만큼은 외교를 담당하는 박제순의 잘못이 더 큽니다.
<고종실록>에는 박제순이 처음에는 “내가 현재 외부대신의 직임을 맡고 있으면서 외교권이 넘어가는 것을 어찌 감히 찬성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말하며 반대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토 히로부미가 겁을 주자 금세 찬성 입장으로 돌아서고 이후 별 저항 없이 체결 도장을 찍습니다.
이후 박제순은 이완용 내각에서 요직에 앉아 있다가 경술국치 때도 찬성 도장을 찍어 매국 2관왕을 달성합니다. 그 후에는 일제로부터 백작 작위도 받고 일본으로 건너가 편하게 유람을 즐기다가 자연사했지요.
그리고 이런 박제순의 손자 박승유는...... 독립운동가입니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지요.
박승유는 박제순이 죽은 후에 태어났지만 할아버지의 매국 사실을 알고 평생 부끄러워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944년에는 아버지의 강요로 일본군에 입대했지만 금세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했지요. 장준하와 비슷한 과정입니다. 그는 광복군에서 지원병을 모으는 초모공작활동을 맡았습니다.
박승유는 특히 노래 실력이 뛰어났습니다. 그 재능을 살려 방송으로 애국가, 가곡 등을 불러 장병들의 애국심을 고취시켰지요. 이 방송은 일본군에도 송출되어 징용된 여러 동포들의 투항을 이끌어냈다고 평가받습니다.
광복 이후에는 자신의 재능을 살려 서울대 음대를 졸업하고 성악가로 활동합니다. 강원대에서 교수직을 역임하기도 했지요. 인터넷에서는 자세한 사실을 모르면서도 ‘박승유가 친일파 할아버지의 덕을 봐서 성악가로 성공하고 교수도 해 먹었다.’ 같은 식으로 매도하는 경우가 있으나 앞서 언급했다시피 그는 엄연한 독립유공자고 한국전쟁 때도 자원입대한 애국자입니다.
안중생, 박승유 이 두 인물의 일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역사는 일반적인 인식과 다를 때도 많고 조상의 공과가 그대로 이어지는 것도 아니지요.
뒤틀린 사실에서 잔인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 또한 역사의 일면입니다
728x90